내부저항(Internal Resistance), 발열과 배터리 효율을 좌우한다
배터리를 오래 쓰다 보면 “왜 발열이 생기지?”, “같은 배터리인데 어떤 건 빨리
닳고, 어떤 건 오래 가는 걸까?” 이런 의문을 가져본 적 있으실 겁니다. 그
핵심에는 바로 내부저항(Internal Resistance)이라는 개념이 숨어
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내부저항이 무엇인지, 그리고 발열과 배터리 효율에 어떤
영향을 주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.
내부저항이란?
내부저항(Internal Resistance)은 배터리 내부에서 전류가 흐를 때 저항처럼 작용하는 요소를 말합니다. 전극, 전해질, 분리막 등에서 전자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 같은 거죠.
즉, 전기를 내보내거나 충전할 때 일부 에너지가 열로 손실되는 현상입니다.
내부저항이 커지면 생기는 문제
- 발열 증가 — 같은 전류를 흘려도 더 많은 열이 발생
- 출력 저하 — 전압 강하로 인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듦
- 효율 감소 — 충·방전 과정에서 손실 커짐
- 수명 단축 — 열이 쌓이면 화학적 열화 가속
내부저항과 발열
발열은 I²R (전류² × 내부저항) 공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. 즉, 전류가 클수록, 내부저항이 클수록 발열이 크게 증가합니다.
이 때문에 고속 충전, 고출력 방전 상황에서는 내부저항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상황 | 내부저항 영향 | 결과 |
---|---|---|
신품 배터리 | 내부저항 낮음 | 효율적, 발열 적음 |
노후 배터리 | 내부저항 증가 | 발열 증가, 사용 시간 짧아짐 |
급속 충전 시 | 큰 전류가 흐름 | 발열 급증 |
내부저항 줄이는 방법
- 완전 방전 피하기 → 전극 손상 방지
- 충·방전 구간을 20~80%로 유지
- 고온·저온 환경 피하기 → 화학 반응 안정화
- 정품 충전기 사용 → 안정적 전류 공급
- 장기 미사용 시 40~60% 보관
마무리
내부저항은 보이지 않지만 배터리의 체감 성능과 직결됩니다. 내부저항이 낮을수록 효율이 높고 발열이 줄어, 배터리를 오래 쓸 수 있습니다. 결국 충전 습관과 사용 환경이 내부저항 관리의 핵심이라는 점, 꼭 기억해 두세요.